건강과 스트레스

정서의 역할과 기능

초코왕땅콩별 2022. 11. 2. 23:50
728x90

1. 삶에서 정서의 역할

 정서는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현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서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게 된다면, 그 의미를 어느 정도 알고 있더라도 한마디로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정서는 생물학적, 인지적, 행동적 현상이며 또한 목적적 현상입니다.

 

 정서는 신체 변화, 인지적 평가, 얼굴 표정과 동기화된 행동, 그리고 주관적 느낌이라는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커다란 주사 바늘이 당신을 찌르려는 순간을 떠올려 봅시다. 느낄 수 있는 정서는 가슴이 뛰며 자신도 모르게 근육에 힘이 들어가는 신체적 반응, 주사 바늘이 위협적인 물건이라는 생각, 미간을 찌푸리고 도망가듯 몸을 뒤로 빼는 행동과 무섭다는 주관적인 느낌을 포함합니다.

정서의 역할과 기능

2. 정서의 기능

 정서는 자신에게 중요한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교통 정체가 심하더라도 정해진 시간 약속이 없다면 특별한 정서를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약속이 있다면 정체된 도로 상황에 화가 나거나 불안하게 됩니다. 제시간에 도착하게 되면 불안과 분노가 사라지듯, 중요한 상황과 그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요구가 종결되면 정서도 사라지게 됩니다.

 

 정서의 일차적인 기능은 개인에게 중요한 상황에 필요한 행동을 동기화하는 것입니다. 부패한 음식이 입에 닿으면 우리는 맛을 제대로 느끼기 전에 뱉어냅니다. 이는 역겨움, 혐오감이 들기 때문입니다. 혐오감은 감염 위험이 있거나 몸에 나쁜 음식을 먹지 못하도록 합니다. 음식뿐만 아니라 극히 비도덕적이거나 비인간적인 행동에 대해서도 분노 혹은 더 나아가 혐오를 느끼게 됩니다. 혐오감은 더럽거나 비도덕적인 대상을 배척하게 하여 자신과 사회를 보호합니다.

 

 한편, 위험하거나 낯선 상황에 처하게 될 때 사람은 두려움을 느낍니다. 두려울 때 몸이 긴장하게 되는데, 이는 위험을 주시하고 비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능합니다. 무언가 중요한 일을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면 사람은 불안을 느끼고, 불안을 대비를 위한 행동을 동기화합니다.

 

 정서는 특정한 목적을 가진 행동을 할 동기적 욕구를 생성합니다. 정서는 주의를 조절하고 적응해야 할 일들이 일어나는지 환경을 감시하며, 그런 일들이 일어나면 필요한 행동을 동기화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런 정서 반응은 의식적인 행동보다 빠르게 작용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입니다.

 

 또한 정서는 타인과 자신을 연결시켜 생존을 돕습니다. 인간관계는 정서를 매개로 만들어지고 변화합니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 일어나는 많은 정서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분리불안은 어린아이가 보호자에게서 떨어지지 않고 보호를 받을 수 있게 합니다. 애착과 사랑은 무력한 아기가 성장할 때까지 부모의 지속적인 헌신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불안과 사랑 모두 아기의 생존에 필수적입니다.

 

 

 자부심과 수치심 역시 관계의 기초가 됩니다. 타인의 인정을 받을 때 자부심과 기쁨을 경험하고, 잘못을 하거나 기대에 못 미칠 때 수치심을 느낍니다. 자부심이나 수치심은 사회적 가치와 기준을 내면화하게 합니다. 사랑, 불안, 수치, 자부심을 비롯한 다양한 정서들은 인간관계의 기반이며, 동시에 활력을 줍니다.

 

 특히 정서 행동이나 표정은 유기체들이 자신의 내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소통하기 위한 수단이 됩니다. 정서 상태에 따른 얼굴 표정의 변화, 목소리의 리듬과 강도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이를 통해 상대의 관심사, 동기와 의도, 자기 조절 상태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서 경험을 나타내는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능력은 적응에 매우 중요합니다. 정서적 소통은 닥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무엇을 행동하고, 하지 말아야 하는지, 무엇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지 등 사회화와 삶의 지식을 습득하는 기반이 됩니다. 인간은 정서의 소통과 공감 능력을 기반으로 서로 협동하고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람들은 화를 참지 못해 후회를 할만한 일을 하기도 하고, 두려움 때문에 가능한 일을 포기하기도 합니다. 불안이나 우울 등의 정서적인 고통을 겪거나 감정을 이기지 못해 일을 그르칠 때, 정서는 비합리적이고 위험해 보입니다. 하지만 심리학자들은 이런 정서의 역기능성은 개인의 정서 조절 자원이 부적절하여 발생한 결과이고, 근본적으로 정서가 삶에 기능적임을 밝혀왔습니다.

728x90